일반적으로 경기 상황과 물가는 반비례하는데요, <br /> <br />요즘 우리나라에선 경제는 부진한데 물가가 급등하는 이상 현상이 벌어지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불황 속 물가상승, 즉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김장철이 다가왔지만, 장을 보는 소비자들의 마음은 가볍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채솟값을 포함해 전반적으로 물가가 치솟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임동춘 / 서울 압구정동 : (김장 준비하러 왔는데) 의외로 비싸요, 사보니까. 가격이 너무 비싼 거 아니냐, 다들 어려운 데 말이죠.] <br /> 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는 무려 2%나 올라, 10월에 이어 다시 한 번 2%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은 0.6%에 그쳐, 두 분기 연속 0%대 성장에 머물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앞으로의 성장을 가늠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아예 감소해 전망마저도 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고용 측면에선 암울한 성적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반적으로 물가는 전반적인 경기와 고용 사정이 좋을 때는 오르고, 불황에 접어들었을 때 한풀 꺾이기 마련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금은 급격한 경기 악화와 물가 상승이 맞물리는 이상 현상이 나타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불황 속 물가 상승, 즉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 진입하면 경제 상황은 나쁜 데 물가만 오르는 만큼, 실제 국민이 느끼는 고통은 훨씬 커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아직은 우리 경제를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분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: (식료품을 제외한) 다른 공산품을 비롯한 상품은 재고가 급증하면서 어려워졌고 오히려 가격이 일부 하락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스태그플레이션으로 (보긴 어렵습니다.)] <br /> <br />실제로 계절적·외부적 영향을 받는 요소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계절적인 영향을 받는 농산품과 외부적 영향이 대부분인 석유류 제품의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스태그플레이션은 아니지만, 스태그플레이션에 필적할 만한 고통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전반적인 경기 악화도 걱정거리입니다. <br /> 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내년에는 투자 부진을 중심으로 경제 성장률이 더욱 떨어져 2% 초반까지도 낮아질 수 있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21005151485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